본문 바로가기

경제2

문맹 보다 무섭다는 금융맹 - 『금융경제학 사용설명서』 감상 “금융맹이 문맹 보다 더 무섭다. 글을 모르는 것은 사는 데 다소 불편하지만, 금융을 모르는 것은 생존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18년 간 美 연준을 이끌었던 앨런 그린스펀 전 의장의 말이다. 과장 섞인 말이라고 생각하지만, 금융이 우리 삶 지근거리에서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새삼 환기시켜준다. 그런데 초·중등교육 과정 12년 동안 글은 배웠어도, 딱히 금융에 대해서 배운 적이 없다. 전교생이 마을금고에 저축 계좌를 개설하고 의무적으로 저축을 해야 했던 것이 최초이자 유일한 금융 교육에 대한 기억이다. '98년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시민 개개인의 금융 이해도가 중요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창구지도를 남용하는 관치금융이었던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한국 금융시장이 단순했다. 기회비용을 무시한다면, 평범한.. 2019. 7. 27.
지적 대화 넓고 얕게 - 독서 모임 2회차 [경제] 서울 강동구에 소재한 생각실험 협동조합에서 주최하는 2회차 모임에 참석했습니다.활동지의 저작권을 존중하여, 질문은 생략한 채 제 생각만 남깁니다. 1. 경제는 [ 핵 ] 입니다. 역사를 움직여왔고, 사회가 기능하도록 하는 논리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동시에 엄청난 파급력 탓에 함부로 실험할 수 없다는 이유로, 경제를 '핵'에 비유하고 싶습니다. 보다 더 합리적인 경제체제와 경제정책에 대한 아이디어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시험삼아 구현에 보는 일에는 너무 큰 어려움이 따릅니다. 사회 구성원 모두의 생계를 담보로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2. 정부의 개입이 시장의 자유 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시장의 자유는 정부 개입에 따른 조정이 있기에 가능합니다. 시장이 효율적인 것은 다수의 자유로.. 2018. 7. 25.